다년간 가르치면서 보면 똑같은 반에서 수업을 듣는 아이들중에서도 격차가 벌어지는 것을 보고 왜 이런 현상이 발생되며 어떻게 하면 고칠수 있을까 라는 생각이 들어 연구를 하기 시작하였습니다.
꾸준하게 최상위권의 성적을 유지하는 학생들은 공통적으로 자신만의 공부 루틴 혹은 노하우 있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여러 학생들과의 인터뷰와 학습방법 연구를 통해 영어라는 과목 뿐만 아니라 학습에 적용시키면 뛰어난 결과를 가져온다는 것을 말이지요.
예습과 복습의 중요성
수업에 열심히 참여하고 자신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아이들은 주로 예습 습관을 가지고 있으며 좀처럼 틀리지 않고 배운 내용을 잘 기억하고 있는 아이들은 복습 습관이 잘 잡혀있었습니다.
Alexander’s 에 다니는 학생들을 예로 들자면 정규반 학생들은 고작 일주일에 6시간밖에 수업을 듣지 않습니다.
언어 학습에서 6시간으로는 터무니 없이 부족하며 이부분을 보완할수 있는 것이 바로 집에서 추가 학습입니다.
복습은 배운 것 공부하고 예습은 배울 것 미리 학습하는 것 아니냐? 라고 생각하실수 있는데 조금 다릅니다.
이 차이점은 2명이상 자녀분들을 가지고 계시는 학부모님들은 이해하실 부분인데, 아이들마다 학습 방법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자면 A라는 아이는 복습하라고 했더니 리딩책을 꺼내서 소리내서 읽을테고, B라는 아이는 리딩책에서 틀린문제를 보고 있을수 있습니다.
복습해라 라는 말에는 너무 광범위한 것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어떻게 하는지 학습하지 않은 아이에게는 강가에 데려가 고기를 잡아 오라고 하는 격이 됩니다.
너무나도 어렵기 때문에 차근차근 학습시켜 습관으로 훈련시켜줄 필요가 있습니다.
그래서 가장 보편적으로 잘하는 아이들이 가지고 있는 학습 방법으로 정리하오니 참고하여 주시길 바랍니다.
복습 습관
Reading파트
1. Reading 지문을 다시 읽으며 모르는 단어들이 있다면 뜻을 찾아보며 학습
2. 리딩 이해문제 중 틀린 것이 있다면 왜틀렸는지 생각하고 정답을 본문에서 찾아서 표시하기
3. 1번과 2번을 하는 도중에 어려운 것이 있으면 표시해 놨다가 수업시간에 선생님에게 질문하기
Listening 파트
1. 듣기 교재에는 QR코드나 mp3가 있습니다. 그것을 사용해 지문을 다시 듣기
2. 들으면서 내용을 생각해보고 다 이해했는지 스스로 물어볼 것.
3. 만약 모르는 단어가 나왔다면 찾아보기
4. 2번에서 다 이해했다면 복습 종료 아니라면 1번부터 반복
Writing[Grammar] 파트
1. 틀린 문제 찾아서 왜 틀렸는지 노트에 정리하기
2. 틀린 문제들중 공통점을 찾아 부족한 부분 재학습
예를 들어 자꾸 동사 뒤에 s 붙이는것을 까먹는다면 3인칭 단수에 따른 일반동사 변화 파트 학습하기
3. 다시 같은 유형의 문제에서 틀리지 않도록 꼼꼼히 암기하기
예습 습관
전 과목 파트
1. 미리 배울 내용을 살펴보며, 어려운 단어나 모르는 단어를 표시하고 공부하기
2. 질문을 살펴보며 마찬가지로 단어 확인
3. 소리내서 지문 읽으며 어려운 부분 찾아서 표시하여 질문준비!
단어 학습
이부분은 너무나도 방대하고 다양한 학습법이 존재하기에 그중 대부분의 학생들이 사용하고 있는 공통되는 학습법을 정리합니다.
1. 단어장에서 스펠링과 뜻을 보며 연습장에 스펠링-> 뜻 순서로 쓰면서 학습 *주의: 눈으로만 보면서 외우는 습관을 가지면 고학년,고난이도가 되면 될수록 독이 되는 위험한 학습 습관이니 빠르게 고쳐주세요.
2. 뜻파트를 가리고 연습장에 스펠링만 보고 뜻을 정리해보기
3. 이번에는 뜻만 적혀 있는 연습장을 보고 옆에 스펠링 써보기
4. 2번과 3번에서 틀린 문제는 단어장에 표시하여 더 시간투자를하여 반복학습
5. 모두다 학습이 되었다 판단이 되면 Self test 보기
6. 2번 연속으로 Perfect 되면 학습 종료 아니라면 1번부터 반복
*Self test는 아이가 스스로 보는 단어 시험으로 보통 단어를 읽은 것을 녹음하여 봅니다. 학부모님이 대체해서 녹음하셔도 되나 학부모님의 관여가 높아지면 높아질수록 학습에서 학부모님들의 의존성이 커져 문제가 될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최상위권 성적을 내는 아이들의 노하우를 마칩니다.